% 고추의 특성
가. 건고추용 품종
1) 강력조생건
○ 특 성
■ 조생계로 잎이 작고 절간이 짧아 터널재배에 적합하다. ■ 착과비대 및 착색이 빠르며, 과형이 우수하다. ■ 과피가 두껍고 건과 품질이 우수하며, 매운맛이 적당하다. ■ 역병에 강하고,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저항성이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아래 마디에 집중 착과되므로 기비를 충분히 주고 생육 초기에 초세 관리를 잘 하도록 한다.
■ 착과성이 우수하므로 아래 마디의 고추가 비대한 후 초세가 약해지지 않도록 추비 관리를 하여 준다.
■ 과피가 두꺼워 급격한 토양 수분의 변화는 열과를 발생시키므로 항상 적정 수분을 유지하도록 한다.
■ 오이모자이크 바이러스(CMV)에는 내병성이 없으므로 5~6월에 진딧물 방제를 철저히 하도록 한다.
■ 청고병에 이병될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2) 강한 1호
○ 특 성
■ 역병에
강하며, 대과종이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후기까지 착과가 좋으므로 비배 관리를 잘 하여 준다.
■
착과 비대기부터는 추비를 연속적으로 시용하여야 한다.
■
초세가 강하므로 넓게 심어 통풍과 채광이 좋도록 한다.
3) 건초왕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토양 비배 관리를 잘 하고, 추비를 주기적으로 주어 후기에 초세가 유지되도록 하여 준다.
■
척박지나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는 재배하지 않는다.
4) 고은
○ 특 성
■ 착과 및
착색이 빠른 품종이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노화묘의 정식을 피하는 것이 좋다.
■
비옥지에 정식하는 것이 좋다.
■
착과력이 좋아 초기 저단에 집중 착과되므로 적절한 비배관리로 초세가 약해지지 않도록 한다.
■
초기에 2~3개의 측지만 남기고 측지를 제거하여 준다.
5) 금메달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칼슘결핍 예방을 위하여 칼슘제를 살포하여 준다.
■ 적기에 약제 방제를 철저히 하고, 다습지와
연작지는 되도록 재배를 피하도록 한다.
6) 다복건고추
○ 매운 맛이 강하고 과형이 우수하다. |
|
7) 다복맛고추
|
○ 숙기가 비교적 빠르고 줄기가 충실하며 착과성이 좋다. |
8) 대장부
○ 특 성
■ 바이러스에 비교적 강한 대과종이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육묘시 도장되지 않도록 한다.
■
초세가 비교적 강하므로 넓게 심는다..
■
연속착과되므로 본포에는 퇴비를 충분히 주고, 비배관리를 잘 하여 준다.
9) 대촌고추
○ 특 성
■ 중조생계
극대과종로 착과력이 우수하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초형이 크고 착과가 잘 되므로 비배관리를 잘 하여 준다.
■
석회를 충분히 주어 칼슘결핍과의 발생을 줄이도록 한다.
■
역병 내병성이 아니므로 발생지에서는 재배를 피한다.
10) 독야청청
○ 특 성
■ 대과종으로
역병과 바이러스에 강하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육묘 트레이는 가급적 큰 것을 사용하고 육묘 기간을 다소 길게 하여 충실한
묘종을 정식하도록 한다.
■ 재식거리를 다소 넓게 하도록 한다.
■ 초세가 강하므로 유인에 유의하도록 한다.
■ 화건시 온도를 너무 올리면 과색이 짙어질 수 있으므로 온도를 낮추어 건조하는
것이 좋다.
11) 만사형통
○ 특 성
■ 역병과
바이러스에 강하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너무 척박한 토양에서의 재배는 삼가는 것이 좋다.
■ 완숙된 과실을 수확하여 2~3일
정도 후숙시켜서 건조하는 것이 좋다.
12) 무병장수고추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역병 이외에 청고병 등 다른 토양 병은 이병될 수 있으니 이런 병의 오염
포장엔 재배를 삼가도록 한다.
■ 바이러스병에 감염되지 않도록 진딧물을 방제하여 준다.
■ 퇴비와 석회를 충분히 시용하고 추비를 주기적으로 준다.
■ 척박지나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는 재배를 피하도록 한다.
13) 미락홍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육묘 시 관리를 철저히 하여 묘를 굵고 튼튼하게 키우도록 한다.
■ 기비로 퇴비를 충분히 하고 연속 착과형이므로 계속적인 추비로 초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 바이러스 상습 발생지나 척박지, 너무
가문 밭에서는 재배를 삼간다.
14) 매콤달콤 |
|
15) 보은건고추
■ 초세가
강하고 역병과 바이러스 강하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초세가 강하고 초형이 커서 정식 후 초기 초세가 강하면 과번무가 되므로
밑거름 주는 량은 다소 줄이고 하절에 착과 비대가 된 후부터 웃거름을 주도록 한다.
■ 가뭄 시 석회결핍과가 오기 쉬우므로 유의한다.
■ 재식거리를 충분히 유지하고 외줄재배를 하도록 한다.
16) 빨리따
■ 역병에
강하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육묘기간을 줄여서 어린 묘를 정식하도록 한다.
■ 추비 위주의 관리를 하도록 한다.
■ 칼슘결핍에 유의하여 관리해 주도록 한다.
■ 지역에 따라 역병이 다소 발병 할 수도 있다.
17) 사천만
○ 특 성
■ 초세가
강한 대과종 품종이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초세가 강하고 잎은 다소 크므로 넓게 심도록 한다.
■ 후기까지 연속 착과되므로 추비관리를 잘 하요 준다.
■ 더뎅이병,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방제를 철저히 한다.
18) 상감
■ 초세가
강한 대과종 품종이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후기까지 착과가 좋으므로 지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 초세가 강하므로 심는 간격을 늘리는 것이 좋다.
■ 후기 단과 방지를 위하여 수확 후 추비를 하여 준다.
■ 줄기가 늘어질 수도 있으니 줄기 유인에 유의한다.
19) 소나타 비가림
|
■ 비교적
마디가 짧고 도장현상이 적은 하우스 비가림재배 전용품이다. |
○ 재배 시 유의사항
■ 장기 비가림재배 시 10회 이상의
관수와 추비가 필요하다.
■ 고온기 온도관리에 유의한다.
■ 하우스 측면에 망사를 설치하여 해충 침입을 막는다.
20) 수비역
■ 역병 내병계
중조생계 대과종이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초기 생육이 촉진되도록 비배관리한다
■ 척박지에서는 생육초기 낙엽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측지 세력이 왕성하므로 측지를 제거하여 하절 착과와 과실 비대를 촉진시키도록
한다.
■ 열과, 석회 결핍과, 탄저병 방제에 유의한다.
21) 슈퍼비가림
|
■ 시설내
고온 하에서 절간이 잘 늘어지지 않는 비가림재배 전용 품종이다. |
○ 재배 시 유의사항
■ 초세가 강하지 않으므로 비배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 초세가 유지되지 않으면 흰가루병 발생이 많아지고 수량이 현저히 감소 될
수도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 담배나방으로 인한 과실의 피해가 많을 수 있다.
22) 신통일
■ 조생종으로
매운맛이 강한 대과종이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초세가 떨어지지 않게 관리하도록 한다.
■ 칼슘결핍에 민감하여 주기적으로 엽면살포 해준다.
■ 역병 발생에 유의하여 배수관리를 잘 하고,
청고병에 대한 내병성은 없으므로 재배에 유의한다.
23) 암행어사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묘가 도장되지 않도록 튼튼하게 키운다.
■ 초기에 초세를 확보하고, 계속
초세관리를 잘 하여 준다.
■ 재식거리를 넓게 하고 측지를 조기에 제거해 준다.
24) 역강홍장군
|
○ 특 성 |
○ 재배 시 유의사항
■ 초기~후기 착과가 좋으므로 초세관리를
잘 하여주고, 익은 도추는 적기에 수확하여 준다.
■ 칼슘결핍 방지와 바이러스 매개충의 방제에 유의한다.
■ 적절한 시비관리로 절간을 짧게 하여 튼튼하게 키운다.
25) 왕대박고추
|
○ 특 성 |
○ 재배 시 유의사항
■ 충실한 대묘를 심고, 지나치게
빨리 심지 않는다.
■ 초세가 강하고 마디가 길므로 넓게 심는다.
■ 측지 2~3개를 키워 초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 관수와 석회결핍과 발생에 유의한다.
26) 웰빙고추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분지수가 적으므로 초세 확보에 주의하여야 한다.
■ 측지 발생이 왕성하므로 측지는 제거하여 준다.
■ 비가 오는 날이 길어지면 세균성반점병 예방을 위해 마이신류나 유기동제를
살포하도록 한다.
27) 위풍당당
|
○ 중조생계의 대과종으로 과형이 균일하면서 후기 단과현상이 적고, 내병성이
강하다. |
28) 일당백 |
|
29) 정이품
|
○ 특 성 |
○ 재배 시 유의사항
■ 충실한 대묘를 심고, 초세가
강하므로 이랑을 넓게 하여 밀식 재배가 되지 않도록 하여 준다.
■ 저온기에는 착과가 불량할 수 있으니 조기정식은 피한다.
■ 척박지나 저습지 재배는 피한다.
30) 조향
|
○ 특 성 |
○ 재배 시 유의사항
■ 충실한 대묘를 심고, 퇴비와
석회를 충분히 시용한다.
■ 착과가 시작되면 관수 및 추비관리를 잘 하여 준다.
■ 너무 고온이 되지 않도록 터널의 환기에 유의한다.
31) 짱고추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터널재배 및 준고냉지에서 작황이 보다 좋다.
■ 노지재배에서는 78~80일 사이의
어린 묘를 서리로부터 안전한 시기에 심는 것이 아래 마디의 착과가 좋다.
■ 터널재배의 경우에도 무리한 조기정식은 삼가 한다.
■ 극대과종으로 탄저병 방제에 유의한다.
32) 천상
○ 특 성
■ 키가 적당하고
바이러스에 강하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후기까지 착과가 좋으므로 가급적 비옥지에 재배하고, 퇴비를 충분히 넣어 끝까지 지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 다수확되므로 착과기부터 추비 관리를 잘 하여 준다.
■ 키는 작은 편이나 후기 과다착과로 상단 줄기가 늘어질 수도 있으니 최소한 3단 유인을 하여야 한다.
33) 천하통일고추
|
○ 특 성 |
○ 재배 시 유의사항
■ 묘상에서의 자람이 빠르므로 서서히 육묘하여 준다.
■ 초세가 강하므로 넓게 심고 추비 등 초세관리에 유의한다.
■ 저온 시 착과가 불안정하므로 지나치게 빨리 심지 않는다.
■ 과피가 두꺼운 극대과종이므로 특히 관수관리에 유의한다.
34) 태산고추
|
○ 특 성 |
○ 재배 시 유의사항
■ 초기의 초세가 과도하게 되지 않도록 재식거리를 충분히 유지하고 외줄재배를
하고, 석회결핍에 유의한다.
■ 추비관리를 잘 하여 준다. 특히
가리질이 부족하면 건고추의 색택이 나빠질 수 있다.
■ 담배 및 오이 모자이크바이러스에 유의한다.
35) 터널홍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측지를 일찍 제거하고 3단 이상
유인하여 준다.
■ 조기 착과되므로 초기부터 초세를 강하게 키운다.
■ 건조, 척박지는 재배를 피한다.
36) 통일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초기부터 착과량이 많으므로 심은 후 활착을 촉진시킨다.
■ 충분한 양ㆍ수분 공급과 병충해 및 석회결핍에 유의한다.
■ 화건 시에는 온도가 너무 높으면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37) 팔광
|
○ 특 성 |
○ 재배 시 유의사항
■
척박지에서는 초세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가급적 비옥한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
연속착과형으로 엽색이 진하더라도 추비관리에 잘 하여야 한다.
38) 한민족
|
○ 특 성 |
○ 재배 시 유의사항
■
만생종이므로 육묘일수를 길게 하여 대묘를 육성한다.
■
저온에서는 착과가 불안정하므로 빨리 심지 말아야 한다.
■
초세가 좋고 절간이 길므로 넓게 심고 측지를 제거한다.
■
과피가 두터운 극대과종이므로 주기적으로 관수하여 석회결핍과 발생을 줄이도록 하여 준다.
39) 한반도고추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후기 초세가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 측지 제거 및 유인관리를 잘 해준다.
■ 열과가 발생되지 않도록 배수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40) 한판승고추
○ 특 성
■ 초기 생육이
왕성하고 착과력이 우수한 터널 재배용 품종이다. |
|
○ 재배 시 유의사항
■
터널재배용으로 초기 초세 확보를 잘 해야 한다.
■
칼슘결핍과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이외의 바이러스에 이병될 수 있으므로 진딧물을 적극 방제한다.
41) PR 갈무리
|
○ 특 성 |
○ 재배 시 유의사항
■ 큰 과실이 집중 착과되므로 시비관리를 잘 하여야 한다.
■ 수확한 후 2~3일 그늘에서
후숙시켜 건조하여야 한다.
■ 역병과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이외의 병해충 방제를 잘 하여 준다.
42) PR 다따
|
○ 특 성 |
○ 재배 시 유의사항
■ 바이러스 예방을 위하여 초세관리를 잘 하고 진딧물 방제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 석회를 충분히 시여하고 토양 수분을 유지하여 칼슘결핍증 발생을 줄이도록
한다.
43) PR 대촌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착과 후에 초세가 약해지지 않도록 관리를 하여야 한다.
■
정식 후 활착이 불량하면 괴저 바이러스에 이병될 수 있다.
■
칼슘결핍증의 발생에 주의를 기우린다.
■
수확 후 2~3일 정도 그늘에서 후숙시켜 건조시킨다.
44) PR-무적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초세가 보통이고 직립형이므로 넓게 심지 말아야 한다.
■
초세가 약한 경우 측지를 제거하지 말아야 한다.
■
바이러스 예방을 위하여 초세를 강하게 유지시켜 준다.
■
조생종이므로 타 품종보다 빨리 추비하여 준다.
45) PR 사대천왕
|
○ 특 성 |
○ 재배 시 유의사항
■ 초세가 떨어지는 후기에 수확량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홍고추를 수확할 때마다
추비를 준다.
■ 화건 시 온도가 높으면 품질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 석회 결핍증 발생에 주의를 기우려야 한다.
46) PR 억만금
|
○ 역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품종이다. |
47) PR 조흥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바이러스, 역병 등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유의한다.
■ 극조생종으로 육묘일수가 길면 묘가 노화될 수 있다.
■ 초세가 떨어지지 않게 기비와 추비 관리를 잘 하여 준다.
48) PR-지존
|
○ 극조생이며, 역병 내병성 대과종이다. |
49) PR 참벗
○ 특 성 |
|
○ 재배 시 유의사항
■ 초형이 크므로 너무 밀식되지 않도록 한다.
■ 저온에서는 수정불량과나 곡과 발생이 있을 수 있으므로 너무 일찍 심지 않도록
한다.
■ 엽색이 진하지만 연속착과되므로 추비관리를 잘 하여준다.
50) PR 터널고추
|
○ 특 성 |
○ 재배 시 유의사항
■ 육묘시 묘가 도장되지 않도록 하고, 72일
정도 육묘한다.
■ 초기 착과는 물론 후기 착과도 많으므로 초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비배관리를 한다.
■ 척박지나 청고병 발생지는 재배를 피하는 것이 좋다.
51) PR 홍두께
|
○ 역병 내병성이며, 초세는 중 정도이다. |
○ 수량성이 많은 품종으로 수확 후에는 반드시 추비를 지속적으로 줘야 후기까지 다수확 할 수 있다.
○ 착색이 빠르므로 수확을 적기에 해 주어야 한다.
52) SS-33고추
○ 절간이 짧은 조생종으로 착과력이 좋다. |
|
나. 풋고추용 품종
1) 청양고추
○ 재래종과 같이 고유의 얼큰한 맛과 감칠맛을 지닌 다수확 품종이다. |
|
2) 녹광
|
○ 저온기 하우스재배에서 착과와 비대가 좋다. |
다. 재래종 고추
1) 영고4호(수비초)
|
○ 개화가 빠르다. |
2) 영고5호(칠성초) |
|
3) 수비초와 칠성초 재배 시 유의사항
○ 초세는 강하나 바이러스에 매우 약하여 적응지역에서만 재배가 가능하다.
○ 80일 이상 육묘하여 성묘로 키워 심는다.
○ 측지의 발생이 많고 세력이 강해 재배 초기에 측지의 제거가 필요하다.
○ 진딧물과 총채벌레를 철저히 방제하여야 한다.
○ 초기 착과가 잘 되도록 비배관리를 하고, 후기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추비 시용이 필요하다.
'해찬벌뜨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난히도 병해가 심한 고추 (0) | 2013.09.30 |
---|---|
참깨재배관리 (0) | 2013.08.19 |
농약의 종류와 제형 (0) | 2013.04.13 |
구글크롬GPU가속설정 (0) | 2013.02.17 |
고추 농사 이야기 (0) | 2012.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