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찬벌뜨라기

잡초의 분류별 분포

? 잡초

 

(1) 잡초 : 재배포장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직접, 간접적으로 작물의 수량이나 품질을 저하시키는 식물을 잡초(雜草, weeds)라 한다. 즉 잡초는 바라지 않는 곳에 발생하고 자연상태에서도 잘 무성하고 번식력이 강하며 큰집단을 형성하고 근절하기 힘들며 작물, 동물, 인간에게 피해를 주고, 이용가치가 적으며 미관을 손상하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 가꾸지 않아도 저절로 나서 자라는 불필요한 식물들

 

(2) 잡초의 해 : 장점 - 그대로 갈아엎으면 토양유기물을 증가시킴

기생 : 작물에 기생하여 직접적으로 양분을 탈취 예)새삼류

작물과의 경쟁 : 토양양분, 수분, 광선 등에서 작물과 경쟁하여 작물의 체온, 수온, 지온을 저하시켜 결국은 수량감소를 가져옴

병충해의 매개 : 잡초는 식물병원균의 중간기주 이거나 해충의 서식처 및 월동처를 제공하여 그 발생을 유지, 조장하여 작물에 피해를 준다.

잡초종자가 섞이면 곡물이나 종자의 품질이 손상됨

목초에 잡초가 섞이면 기호성과 사료가치가 떨어진다.

목야지 잡초는 가축에 중독을 일으키거나, 뿌리에서 유해물질을 분비하는 잡초도 있

 

(3) 잡초의 전파

자연력에 의한 전파 : 바람이나 물등에 날라가고 떠내려감

동물에의한 전파 : 종자에 갈고리나 가시가 돋친 종자는 동물에 의한 전파가 용이.

사람에의한 전파 : 농작물의 종자나 퇴구비, 가축의 분뇨, 농기구 등에 의해 전파

 

? 잡초의 분류

 

(1) 식물학적 분류 : (kingdom)->(division)->(class)->(order)->(family)->(tribe)->(genus)->(species)->품종(variety)

쌍자엽식물(dicotylrdon) :2매의 자엽과 개방유관속의 줄기, 잎은 우상맥이고 뿌리는 직근계로 생장점은 식물체의 위쪽에 자 리함. 원뿌리와 곁뿌리의 구별이 뚜렷하다.(곧은뿌리)

단자엽식물(monocotyledon) :1매의 자엽과 산재된 유관속의 관상줄기 잎은 평행맥이고, 뿌리는 섬유근계의 관근으로 생장 점은 줄기하단의 절간부위에 있다.

원뿌리와 곁뿌리의 구별이 없다.(수염뿌리)

(2) 생육기간의 장단에 따른 분류

1년생잡초 :일년동안 life cycle을 마치게 하며 하계 및 동계 일년초가 있다.

2년생잡초 : 첫해에 발아, 생육하고 월동하며 월동기간 중 화아 분화하여 봄에 개화 경실 후 고사한다.

다년생잡초 : life cycle2년이상 경과한다.

-단순다년생 잡초 : 민들레 질경이 등

-구근다년생 잡초 : 산달래, 야생마늘 등

-포복형다년생 잡초 : 너도방동사니, 쇠뜨기 등

(3) 수습적응성에 따른 분류

수생잡초 : 물달개비

습생잡초 : 둑새풀

건생잡초 : 냉이, 개비름 등

(4) 발생시기에 따른 분류

여름형잡초 : 3-4월에 발생하여 4-6월이 최성기-명아주, 강아지풀

월동형잡초 : 9-10월에 발생하여 월동전후에 최성기-속속이풀, 개미자리 등

(5) 발생빈도에 따른 분류

우생(優生()잡초

광생(廣生)잡초

산생(散生)잡초

희생(稀生)잡초

(6) 발생지에 따른 분류

경지(耕地)잡초

목초지(牧草地)잡초

과원(果園)잡초

산야초(山野草)

 

?경지잡초의 종류

(1)논잡초

화본과1년생잡초 : , 둑새풀

화본과다년생잡초 : 나도겨풀

방동사니과 1년생잡초 : 알방동사니, 참방동사니, 바람하늘지기, 바늘골

방동사니과 다년생잡초 : 너도방동사니, 매자기,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쇠털꼴, 파대가리

광엽1년생잡초 : 물달개비, 물옥잠, 사마귀풀, 여뀌, 여뀌바늘, 마디꽃, 밭뚝외풀, 생이가래, 곡정초, 자귀풀, 중대가리풀

광엽다년생잡초 : 가래, 버술, 올미,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네가래, 미나리

 

(2) 밭잡초

화본과1년생잡초 : 강아지풀, 개기장, 바랭이

방동사니과 1년생잡초 : 참방동사니, 바람하늘지기, 파대가리

광엽1년생잡초 : 개비름, 까마중, 명아주, 쇠비름, 여뀌, 자귀풀, 환삼덩쿨, 주름잎,석류풀, 도꼬마리

광엽월년생잡초: 망초, 중대가리풀, 황새냉이

광엽다년생잡초 : 반하, 쇠뜨기, , 토끼풀, 메꽃

 

II. 잡초의 생리, 생태

? 잡초의 번식

(1) 유성번식

o 일년생잡초 : 1년이내에 개화, 결실하여 종자를 남긴다.

o 2년생잡초 : 첫해에 영양생장-이듬해 생식생장 후 종자

o 다년생 잡초 : 주로영양 번식(종자도 있음)

O 종자생산력에 관여하는 요인

- 일장 : 단일로 개화가 촉진, 종자수가 증대되며 장일은 억제한다.

- 영양생장량 : 영양생장기간이 연장되면 종실의 크기와 수가 늘어난다

- 온도 : 잡초의 생리대사에 영향을 미친다.

 

(2) 영양번식

O 영양번식기관 : 포복경(버뮤다드라스), 인경(야생마늘), 지하경(너도방동사니), 괴경(올방개), 직근(엉컹퀴), 줄기(민들레), 절편(쇠 비름)

O 환경요인

- 토성 : 중점토, 사양토에서 지하영양기관 양호

- 일장 : 단일에서 괴경형성을 촉진하고 장일에서 억제

- 광도 : 높은 광도에서 경엽은 작아지나 괴경수는 증가

- 무기성분 : 충분한 조건하에서 촉진

? 잡초의 전파

(1) 공간적 전파 : 유성번식 종자, 바람, , 동물, 인간 등

-이동하는 형태 : 솜털, 깃털 등으로 바람에 날리는 민들레, 꼬투리가 물에 부유하는 소리쟁이, 갈고리 모양의 돌기등으로 인축 에 부착하는 도깨비바늘, 결실하면 꼬투리가 터져 흩어지는 달개비 등

(2) 시간적 전파 : 다년생 영양체로써 포도경(벋음씀바귀), 뿌리줄기(가래), 덩이줄기(향부자), 비늘줄기(자주팽이밥)

o 휴면특성을 이용하여 부적당한 환경은 회피하고 후대를 존속시킬 수 있는 기능

o 휴면의 원인 : 가스교환, 흡수억제, 배발육의 기계적 저항, 수용성 억제물질의 존재, 배유저장물질의 이동억제, 배의 발육, 분화 부진 등

 

? 잡초종자

(1) 종자수명

토양중에서의 발아가 쉬운 종자는 수명이 짧고 어려운 종자는 길다.

종자의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 발아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수분함량이 낮고 저온이며, 산소분압이 낮은 조건은 종자의 수명을 길게 한다.

(2) 종자의 발아

King의 발아 5단계 : 전분에 의한 물의 흡수-> 전분의 가수분해-> 세포분열 및 신장의 대사과정-> 종근 및 유아의 신장->유아의 출현

발아환경 요인

o () : 경지잡초의 대부분은 호광성이며 광은 휴면타파의 요인이 되기도 함

o 산소 : 최소량의 산소공급이 요구된다.

o 온도 : 발아적온 15 - 30, 최고 25 -45이다.

광발아 종자 : 바랭이, 쇠비름, 개비름, 참방동사니, 소리쟁이, 메귀리 등

암발아 종자 : 냉이, 광대나물, 독말풀 등

발아습성 : 발아주기성, 발아계절성, 발아연속성

 

III. 경 합

 

? 잡초의 해

(1) 농경지에서의 피해

o 경합 : 수분, 양분, 광과 경합하므로 작물의 품종이나 생육단계에 따라 작물의 체적, 광합성량이 줄고 수확물의 감소를 가져온다.

- 양분과 수분의 감소 : 잡초는 양분과 수분의 흡수력이 강하고 잡초가 많을EO는 작물의 뿌리형성이 나빠진다.

-일사의 감소 : 잡초가 성하면 일사량의 감소로 작물의 광합성을 저해한다.

o 상호대립억제작용 : 잡초가 분비하는 특정 물질은 작물의 발아, 생육에 영향을 주며, 작물-잡초, 잡초-잡초, 잡초-작물, 작물-작물의 상호간에 나타난다.

o 기생 : 실모양의 흡기를 내어 기주식물의 뿌리나 줄기에 침입하는 새삼, 겨우살이가 있다.

o 병해충의 매개 : 작물병을 유도하고 해충의 서식처로서의 역할

o 작업환경의 약화 : 습도와 물리적 장애로 작업이 어려워지고 품질저하와 수량감소를 가져옴

o 사료포장의 오염 : 만성, 급성독성으로 품질관리 및 초지관리에 지장있다.

o 종자혼입 및 부착 : 잡초종실의 혼입, 부착으로 포장을 오염, 작물의 품질 저하

(2)물관리상 피해 : 수로의 흐름을 막거나 수질을 오염한다.

(3)조경상의 피해

(4)도로 및 시설 지역의 피해

 

? 경합특성(작물측면)

잡초의 종류나 발생밀도에 따라 작물경합력을 저하시킨다.

잡초 방제면에서 유리하고 환경조건에 적응력이 큰품종을 선택한다

발아, 생육을 먼저시작하는 작물이 잡초보다 더 유리한 입장에서 경합한다.

시비로 토양비옥도가 높여 작물의 생육을 좋게하고 이때는 제초를 철저히 해야 한다.

윤작으로 잡초의 생육을 감소시킬 수 있다.

 

IV. 잡초방제법

 

? 기계적 방제법

수취, 베기, 경운, 소각, 관수, 훈연 등

 

? 경종적 방제법

(1)경합특성 이용법

o 작부체계 : 작물의 연작에서 오는 생산력 감퇴를 막고 윤작과 동시에 제초제를 사용하여 지력증진과 잡초발생을 억제한다.

o 육묘이식재배 : 육묘이식으로 작물을 선점한다.

o 재식밀도 : 재식밀도를 높여서 초관형성을 촉진한다

o 잡초와 경합력이 큰 작목 품종 종자를 선정한다

o 파종지 준비를 작물초기생육과 같게 한다.

o 재파종 및 대파로 1년생 잡초의 발생을 억제 시킨다.

o 피복작물로 토양침식과 잡초발생을 억제한다.

(2) 환경제어법

o 작물에게는 유리한 환경, 잡초에게는 불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o 시비관리, 토양산도, 관배수조절, 제한경운법, 특정설비 이용법 등이 있다.

 

? 생물적 방제법

o 곤충의 이용 : 식해성 곤충인 천적의 이용

o 식물병원균의 이용 : 특정식물을 선별적으로 가해하는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이용

o 어패류의 이용 : 수생잡초를 선택적, 비선택적으로 방제

o 식물의 이용 : 인접식물의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방제

 

? 화학적 방제법

o 제초제

? 논잡초 방제법

(1) 재식양식별 우점초종

o 이앙재배 : 올방개, 올미, 벗풀, ,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o 건답직파재배 : , 바랭이, 자귀풀, 사마귀풀, 강아지풀 등

o 무논골뿌림 직파재배 : , 사마귀풀, 나도겨풀, 올방개, 여귀바늘 등

(2) 제초제의 약해 : 기상, 토양, 재배관리, 제초제 사용법 등 복합적으로 일어남

o 기상요인 : 저온(15이하), 이거나 고온(30이상), 기온교차 극심

o 재배관리 재배양식, 천수관계, 심수관계, 천수관개, 이앙심도 낮음

o 제초제 사용방법에 따라 : 과잉살포, 중복살포, 처리시기오판, 약제선택 오판, 근접살포

o 농가 답에서 발생하는 약해로는 이상고온, 유기물시용에 의한 이상 환원, 물관리미숙, 과잉살포, 중복살포, 처리시기 오판 등

) 엠마인, 온드레, 노노풀-심수상태, 대부분의 제초제 - 천수관개(얕은물)

(3) 종합적 방제체계

o 가능방법을 총동원하고 환경에 나쁜여향을 주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반복 시행

o 가장 경제적이면서 생태계 보존능력과 안정성이 높아야 함

o 지나친 화학적 방제법의존을 지양하고 생태적, 생물학적 방제법도 함께 도입

 

? 밭잡초방제법

 

(1) 대상지의 잡초문제를 정확히 예측하거나 파악함으로써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제초방법을 선정

(2) 제초제 사용시는 정밀성과 효율성을 준수

(3) 밭잡초는 종류가 아주 다양하므로 선택성인 제초제를 혼용하거나, 기계적 생태적인 제초법과 병행된 체계와 처리가 바람직 함

(4) 후작물에 미치는 영향 등 인축과 환경에 오염이 없도록 사용기준을 지켜 취급해야 한다.

제초제를 사용후에는 반드시 사용도구(농약통)를 세척하고 물에 희석해야 한다.

 

? 과수원 및 비농경지의 잡초방제법

(1) 과수원

o 평지와 경사지의 조성 입지에 따라 밭잡초와 숙근성 잡초가 있음

o 토양유실과 유기물공급을 위하여 청경재배보다는 초지재배가 유리함

o 봄갈이를 하여 작토층의 잡초발아를 유도하여 여름잡초가 다자란 후에 비선택성 제초제를 처리하며 다년생 초종은 수시로 비선 택성 제초제를 점처리한다.

 

(2) 비농경지

o 다년생 잡초를 방제하고나서 1년생 잡초를 방제하는 순서로 시행하되 예방 위주로 한다.

o 이행성이 높은 호르몬형 제초제와 비선택성의 토양처리제, 경엽처리제를 혼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 잡초의 식별

? 논잡초

(1) 올방개

o 방동사니과의 다년생 잡초로서 논잡초의 우점순위는 19.6%.

o 발생 심도가 20cm까지 깊고 괴경의 직경이 0.7-1.3cm로 크다. 끝이 무디고 약간 불규칙하게 구부러지며 줄기내부에 횡경막이 있어 끝이 뾰족하고 곧게 뻗은 올챙이 고랭이와 구분이 가능함

(2) 벗풀

o 택사과에 속하는 다년생 광엽잡초로서 중부지역의 논에 우점 발생

o 발생심도는 2-15cm, 초장 40-90cm , 화경이 20-50cm로 길게 직립하거나 경사진다.

 

(3)

o 화본과 1년생 잡초로 직파재배의 확대보급에 따라 발생이 크게 증가될 전망임

o 엽맥이 하얗고 엽이나 엽설이 없는 점에서 벼와 구분됨

 

(4)너도방동사니

o 방동사니과의 다년생 잡초로서 괴경 및 지하경으로 번식한다.

o 줄기는 삼각형으로 각이지고 광택이 있는 농록색으로 초장은 60-120cm 벼의 위로 솟아 광경합해를 일으킴

 

(5) 물달개비

o 종자번식형의 1년생 광엽잡초로서 잎은 다육질이다.

o 유묘시에는 끝이 뾰조한 선형이나 자라면서 알모양의 심장형으로 변하고 줄기는 5-8개로 총생하고 잎자루는 4-6cm이며 뿌리는 깊지 않다.

? 밭잡초

(1) 바랭이

o 화본과 1년생 잡초이다

o 초장 30-90cm, 5-15mm 정도로 털이 없는 것 잎을 가지며 엽설은 담백색으로 엽초에는 백색의 장모가 나 있다.

(2) 참방동사니

o 방동사니과의 1년생 잡초이다.

o 황적색을 띄는 수염뿌리와 황금빛 이삭을 가지며 이삭 아래쪽의 잎이 이삭보다 길며 줄기는 삼각형으로 각이지고 종실은 1-1.5cm의 달걀형

(3) 쇠비름

o 광엽 1년생 잡초로 생장속도가 빠르다.

o 경엽이 다육질이고 부드러우며 초장은 15-30cm 정도로 지면에 깔려 자라며 유식물은 적자색

 

? 과수잡초

(1)

o 국화과의 다년생 잡초

o 잎의 뒷면에 털이나 있고 줄기아래 부위에 많은 가지를 내며 자엽은 녹색이고 잎자루는 자색으로 광택이 없다.

(2) 망초

o 국화과의 1-2년생 잡초이다.

o 경엽전체에 길고 거친 털이 밀생하며 줄기는 1-2cm 크기까지 직립하며 종자는 낙하산 모양의 관모를 가짐

(3) 쇠뜨기

o 광엽다년생 잡초이다.

o 지하경은 땅속 깊이 가로로 뻗어 마디마디에 지상경이 나온다. 지상경은 잎에 해당하는 영양경이 있으며 원주형으로 30-60cm까지 자라 마디에서 다수의 가지가 나옴. 육질은 부드러우며 원주형으로 포자를 살포시킨 다음 고사 한다.

 

'해찬벌뜨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Yandex Browser 소개  (0) 2021.11.13
2021 배추 맛있게 키우는 법  (0) 2021.10.25
2021 가을배추 무름병  (0) 2021.10.19
한컴 오피스 2022  (0) 2021.10.16
2021년 한글날 기념 무료 폰트 배포  (0) 2021.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