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확 및 저장
1. 수확적기
줄기와 잎이 1/2~2/3정도 누렇게 말랐을 때(한지형 : 6월 중순)
너무 일찍 수확하면 수량성이 떨어지고 저장 중 부패하기 쉬우며 너무 늦게
수확하면 열구현상이 심하여 상품성이 떨어짐
토양이 습하지 않을 때 맑은 날을 택하여 상처가 없도록 수확
수확시 마늘에 붙은 흙을 털기 위해 수확 창이나 삽 등에 두드리면 상처가 생기므로 손으려 비벼서 털어내는 것이 좋다.
수확 후 3~5일간 햇볕에서 물기를 말린다 (예건).
△ 한지형마늘 수확 시기별 수량
한지형 마늘 수확 시기별 수량 한지형 마늘 수확 시기별 수량에 관한 표입니다.
수확시기 | 6월 20일 | 6월 25일 | 7월 1일 |
수량(㎏/10a) | 794 | 821 | 818 |
2. 마늘건조
수분함량이 높은 상태로 저장할 경우 호흡과 증산 작용에 의하여 미생물 번성이 많아 쉽게 썩으므로 적극적인 예건 필요
수확 후 수분함량이 80%이므로 건조기 이용 40℃이하로 3~5일 건조
△ 마늘의 수분함량 비교
° 마늘의 수분함량 비교 마늘의 수분함량 비교에 관한 표입니다.
구 분 | 수확직후(%) | 건조후(%) |
외피 | 76.6 | 13.4 |
내부줄기 | 85.8 | 21.5 |
인편 | 66.3 | 65.7 |
△ 건조기별 건조 소요일수 (수분함량 65% 기준)
관 행 | 벌크건조기 | 다목적 건조기 |
28일 | 5일 | 7일 |
※ 건조기별 건조 소요일수 건조기별 건조 소요일수에 관한 표입니다.
△ 변질 개체수 (40일 보관 후)
구 분 | 관행 | 다목적 건조기 | 벌크 건조기 | |
40℃ | 50℃ | |||
변질개체수 | 13/600 | 0/600 | 0/600 | 600/600 |
※ 변질 개체수변질 개체수(40일 보관 후)에 관한 표입니다.
※ 주의사항 : 반드시 건조 적정온도 유지(40℃이하)
3. 마늘저장요령
△ 간이(예비)저장
저장 마늘선택 : 구가 단단하고 큰 것보다는 중간크기의 마늘을 선택한다.
온도 : 0~20℃, 습도 : 70~80%
― 가급적 서늘하게 보관하여 호흡작용을 최대한 억제시킨다.
간이저장 장소는 바람이 잘 통하여 서늘하고 습기가 적은 곳으로 간이저장고, 창고, 헛간, 하우스(차광 처리) 등을 이용함
장마철 습도가 높을 때 맑은 날을 선택하여 햇볕에 말린 후 다시 보관
간이저장은 10월 하순까지 저장하는 것이 좋다.
저장방법은 50~100개씩 엮어서 덕에 매달거나(땅에서 50㎝정도 띄움) 주대와 뿌리를 잘라내어 그물망이나 상자에 담아 저장한다.
△ 저온저장
수확 후 수분함량을 65%로 건조시켜 바로 저온저장
― 저장온도 : 0~2℃, 저장습도 : 70~75%
저장 중 맹아가 발생할 경우 저장온도를 -2℃까지 낮춰서 저장
저온저장 후 40℃ 이내로 1일 정도 건조(건조기 이용)하여 유통
4. 저장 중 병해 관리
△ 저장 중 갈변증상
봄에 비닐피복을 제거하지 않고 수확기까지 그대로 두었을 때
3년이상 연작하거나 지나치게 질소비료를 많이 주었을 때
마늘 건조 및 저장방법이 불량할 때(지나친 고온 및 직사광선)
생육 중에 뿌리선충의 가해를 받으면 저장 중 갈변한다.
△ 푸른곰팡이
주로 저온저장 중 줄기를 절단한 부위부터 감염되며 푸른곰팡이가 생김
수확시 상처부위나 선충 또는 응애가 가해한 부분으로 침투된다.
겨울에서 봄까지 주고 저온저장한 마늘에서 피해가 크다.
△ 마른썩음병
초기에는 담갈색 수침 상으로 다습한 조건에서 무름 증상으로 부패(흰색 균사)
토양 중에 생존하다 수확시 생기는 상처나 선충 또는 응애가 가해한 자리로 침투하여 저장 중에 발생한다.
저장시 고온다습한 여름철에 우선 상처가 생긴 부분부터 감염되어 확산
△ 자주점무늬병(저장 중 잎마름병)
마늘쪽에 자색의 소형반점이 형성되고 점차 흑갈색으로 변함
마늘쪽 전체가 부패되지 않고 반점발생에 따라 상품성이 떨러짐
생육 중 잎이나 줄기에 발생한 잎마름병균(자색반점)이 빗물을 타고 마늘통으로 스며들어 저장 중에 발생
△ 저장 중 병해 예방대책
가급적 4월에 비닐을 제거 한다.
적기에 잎마름병 방제 및 적기에 맑은 날 수확한다.
질소질 비료를 과용하지 말고 균형시비를 한다.
마늘 파종전 반드시 소독하여 파종한다.
수확시 마늘통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충분히 건조하여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한다.
'해찬벌뜨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늘 텃밭 농사 (0) | 2018.04.01 |
---|---|
마늘 주아재배기술 (0) | 2018.03.20 |
마늘 주요 병해충 방제 대책 (0) | 2018.03.16 |
마늘 주요 생리장해 및 대책 (0) | 2018.03.16 |
한지형 마늘 주아재배 (0) | 2018.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