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찬벌뜨라기

AMD Ryzem 1700 구성 CPU, RAM Overclock(오버클락)

이번에 컴을 바꾸다.

17일 부품이 도착하여 한자리에 모아서

 

세팅이 완료하고.....

 

옆에서 보고

 

기계식 키보드....갈축 104 키

 

아직은 테스트 중이어서 어떤지에 대해선.....

조금 더 써보아야 할 것 같아요.

조림과 세팅을 완료하기까지 사흘이 이라는 시간이 지났어요..

한대는 컴 분해 후 재 조림하고, 한대는 정리하고 싸 두었던 부품들도 같이 정리해 버림,,,,,

데이터가 좀 대서 정리하는데만 거의 하루

설치하는 대만 하루가 지나가는군요......

17년 동안 써오던 HDD가 8개나 되고 용량으로 보면 대략 1.6T 정도 되는군요.

거의 모는 것이 음원이라서....ㅋㅋ

정리하다 보니 하드 한 개는 고장이 나서 버림..(복구해 보려니,,,,엄두가 안남.... 수리하고 복구하려면 금액이~~~^^)

오버 

3 ~ 3.7까지 기본 오버 스택이라서 이 범위 내에서 함~

그 이상은 쿨러의 한계로 인하여 안되기 때문에 포기~~

일단 ASUS PRIM X370 PRO _ AUS Dual Intilligen Prodessors 5 유틸로 오버를 하게 되면 한계치까지 오버를 시도합니다.

한계치에 도달하면 리봇팅되면서 바이오스에 기록이 자동으로 됩니다.

자 이젠 수동으로 하여 세부적인 것들을 조정을 하면 되는데요,.,,

역시 쿨러의 한계를 여기서 느끼는 순간입니다...^^

여기서 한번 더 오버를 해봅니다....

전압과 수율을 조정하고 팬 조정하여 3.775까지 가능하군요...

전압은 1.385 맞추고 수율은 100 X 37.75 팬은 수동으로 맞추고 하면 되는데,,,,

CPU 온도가 40~65도이며, 풀로드에 드려가면 다운이 될듯하네요,,,

국민오버라고 하는 3.8은 무리가 있어 보이는군요.

TDP 65W 에서 135W까지 증가하며, 이는 수랭이 아리면 불가능할 거라고 봄

AMD 정품 쿨러로 3.7까지도 어려울 것으로 보임

최종 마무리~~~

3.7~3.775은 테스트에서 화면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군여,,,,

전압을 조정하여 안정은 되지만 85도 웃도는군요,,,,포기

3.6은 테스테에서 화면이 순간 꺼지는 현상이 있으나 짐 시후 복구가 되면서 정상 작동,

가끔 동영상을 돌 때 화면에 노이즈 발생하여.. 전압을 조금 더 올려서 안정은 되지만

역시 온도가 높군요

CPU 팬을 조정하여 극복이 되나 팬 소음이 크고, 무더위에는 무리가 있을 듯

 

3.5은 안전한 것으로 보임 기본 클럭일 때와 보면 온도가 약 2도 상승

CPU 팬을 조정하여 2도는 극복이 될 듯..(아이 들 시 36~38도 사이를 유지)

이제 과부하 테스트를 하여 봅니다.

15분 ~~ 결과는 79도까지 올라가는군요.

기쿨에서 날씨가 더우면 어려울듯하여 클럭을 낮추어서 다시 해봅니다.

여전히 높군요.

3.4로 가봅니다.

10분 정도 ~~ 결과는 76도

3.3로 갑니다.

20분 넘개 풀로드테스트 결과 72도를 유지하는군요.

기쿨에서 70도 범위에서 그나마 움직이는 것은 3.3이군요.

전압은 1.875v이며 여기서 전압을 더 낮추게 되면 화면이 꺼지므로 최저 전압이라고 보입니다.

마찬가지로 전압을 더 올리게 되면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실사에서 이 처럼 혹독하게 쓰지는 않겠지만 극한 테스트 결과입니다.

시벤치에서 CPU : 렌더링 수치는 1417cb Open GL 83.49 fps 나오네요. CPU 온도 : 62도

램 오버 2666 실패 포기합니다.,,,,^^

ASUS PRIM X370 PRO 보드는 CPU 전압이 3~3.5까지는 1.8750v이며, 3.6~3.775까지는 1.2650v

자동으로 잡아 주네요.....!!!

3.8~ 4는 시도를 안 해보았으므로 패스합니다.

AMD 스피어에서 어떤 것을 사용 하든 선택은 여러분이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역시 오버에는 수랭이 필수이지 안나 싶군요.

※ 2017.09.26 바이오스 업데이트 후 전압 재설 후의 상태

CPU 설정 부분

 

 

※ 팬 조정 부분

 

수동 설정 후이지만 표준 설정치와 크게 다르지 않음 주황점이 설정 부분에 잘 위치해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후담.....

라이젠 R7 1700 CPU 국민오버 ASUS PRIM X370 PRO 보드에서 실사 적용 통과

국민오버 : 3.8G , 램 오버 : 3000

기쿨에서는 안되어 쿨러 교체 후에 적용한 것

ASUS PRIM X370 PRO 바이오스 버전은 5603 적용 이하 버전에서도 가능하지만 온도가 약간 더 올라가는 현상이 있음

X370 보드에서 요금 핫한 AMD Ryzen9 3900X CPU 지원함.

X470, X570보드 구지 구입하지 않고 기존의 X370보드로도 가능하다고 함.

단 Gen4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함.

AMD Ryzen7 1700 3.0G →3.8G  램 : TeamGroup 19200 → 24000(2133 → 3000) → 8Gb 풀뱅

CPU 전압 → 1.31875 v   SOC → 1.00000 v    RAM 전압 → 1.295v 안정화 실패 (사무용 세팅 OK)

소지하고 있는 램 다이 : hynix MF 다이

최근 바이오스 버전 6042 업 그레이드 후 전압 조정을 다시함.

3.8G CPU 전압 → 1.31250v   SOC → 1.08750v    RAM 전압 → 1.35v  아이들 온도 → 34도 ~ 38도

3.7G CPU 전압 → 1.25000v   SOC → 1.08750v    RAM 전압 → 1.35v  아이들 온도 → 32도 ~ 34도

램타 → 16 17 19 20 38 58(2도 ~ 4도 상승함)  OR  18 21 21 21 42 66 : 최적 램 타로 안정화를 볼 수 있었다.
이 두 값의 차이는 크지 않다.

저가형 메모리

1차 램타 : 조정, 2차 램타 : 조정, 3차 램타 : 조정 → 수율이 안좋은 경우 2차, 3차 까지 조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음.
TeamGroup 19200  RAM : 3000Mh 초기 부팅조차 불가한 상태에서 모든 과정을 수동으로 찾음.
3200Mh → 3000Mh를 찾고 나니 3200Mh에 도전 시작 (3200Mh 과연 찾을 수 있을까?)

풀로드  → 최저온도 : 62도 ~ 초고 온도 : 70도

RAM전압 : 1.35v VSOC전압 : 1.125v

※ 2133 XMP 2400 메모리 3200Mhz 풀뱅 오버성공값 (단면 : 2개 & 양면 : 2개) 혼용 오버
부팅시 5도 상승, 이들시 3도 상승, 평균 사용시 온도 35도 ~ 45도

CL : 18  적용 ↔ 부팅성공.
CL : 18에서 세부램타(1차, 2차, 3차)를 조정함. → 최초 설정값 : tRRDS : 5~6, tRRDL : 8~9
CL : 20에서 5, 7 설정시 부팅 불가, → 5, 8 OR 6, 9로 설정하여 부팅시킴.
tRRD? : 6, 8 맞추고  세부 렘타 조정 후 안정화 시킴. 

RAM전압 : 1.37v VSOC전압 : 1.15v VPP_MEM 전압 : 2.7v

저가형 TeamGroup 19200  RAM을 가지고 있다면 참고 해서 해볼 만 하겠지요.

'해찬벌뜨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어폭스 메모리에 올리기  (0) 2017.06.09
터밭 참깨 일지 3  (0) 2017.05.29
텃밭 참깨 파종한 모습  (0) 2017.05.09
텃밭 참깨 파종  (0) 2017.05.06
파이어폭스 멀티프로세스 활성화  (0) 2017.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