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9일 콩밭을 둘려 보면서 콩 잎말이명나방 발생하였음을 확인하고 7월 30일 1차 방제를 시행하였다.
두과 작물에 주로 나타나는 병해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지금으로서는 다른 병증은 없고 명나방이 발생하였으므로 방제를 시행하였다.
시기적으로 늦은 감이 있지만 일일이 잡아내면서 혹 떨어진 명이나방이 다시 기생의 여지를 없새고자~~
콩잎말이 명이나방에 대해 알아보자.
출처 :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출처 :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 명이나방 생태정보
. 1년에 2~3회 발생하고 제 1회 발생은 6월이며 7~8월에 그 피해가 가장 심하고, 제 3회 발생은 9월이다.
. 유충은 여송연모양의 권엽(捲葉 2~3개의 잎을 하나로 모아 세로로 만다) 속에서 갉아먹으며 자라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 유충으로 야산이나 수확 후 남은 콩잎 속에서 월동한다.
. 성충의 수명은 몇 일에 불과하고 밤에 잎 뒷면의 잎맥을 따라 1개씩 산란한다.
. 부화유충은 잎의 뒷면에서 가해하며 잎을 만다.
. 약 20일만에 다 자라서 잎 속에서 번데기가 되는데, 번데기 기간은 6~9일이다.
피해정보
. 유충은 콩, 강낭콩, 까치콩 등의 잎을 말거나 접고 그 속에 들어가 갉아먹는데, 잎을 건드리면 유충이 땅위로 떨어진다.
방제방법
. 유충이 잎을 여러 장 묶고 안에서 가해할 때에는 약제에 접촉될 기회가 적어 방제효과가 떨어지므로 알이 부화하는
시기에 등록약제를 살포한다.
. 방제적기는 알의 부화 최성기인 7월 중순~8월 중순 사이이다.
'해찬벌뜨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주를 이용한 살충제 만들기 (0) | 2022.09.04 |
---|---|
즐겨찾기를 브라우저별로 변경하기 (0) | 2022.09.04 |
괴산군 농업기술센터 가을배추 신품종 (0) | 2022.07.29 |
천연재료를 이용한 텃밭 해충관리 기술 (0) | 2022.06.01 |
주요 병해 발생생태와 방제대책 (0) | 202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