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미디어 발달로 축하연을 쓰는 일은 거의 없다 시피하죠.
간혹 축하연을 쓸때 어떻게 써야 하는지 낭감할때도 있답니다.
각종 축의문 예시
승진, 취임, 영전 등을 축하하며
祝昇進 (축승진. 직위가 오를 때), 祝榮轉 (축영전. 더 좋은 자리로 전임을 할 때)
祝就任 (축취임. 맡은 자리에 처음으로 일하러 나아갈 때)
祝轉任 (축전임), 祝移任 (축이임), 祝遷任 (축천임. 다른 관직이나 임지로 옮길 때)
祝轉役 (축전역. 다른 역종으로 편입될 때)
개업, 창립등을 축하하며
祝發展 (축발전. 좋은상태로 나아가라고), 祝開業
(축개업. 영업시작을 축하하며)
祝盛業 (축성업. 사업이 잘되기를 바라며)
祝繁榮 (축번영. 일이 성하게 잘되길 바라며), 祝創立 (축창립)
祝創設 (축창설. 새롭게 시작함을 축하하며)
祝創刊 (축창간. 정기간행물지를 시작했을 때), 祝移轉 (축이전. 사업장을 옮겼을 때)
祝開院 (축개원. 병원,학원 등의 설립을 축하하며)
祝開館 (축개관. 도서관,박물관 등의 설립을 축하하며)
생일을 축하하며
祝生日 (축생일), 祝生辰 (축생신)
祝壽宴 (축수연. 오래 산 것을 축하하며-흔히 환갑을 이름)
祝華甲 (축화갑), 祝回甲 (축회갑. 61세를 축하하며), 祝古稀 (축고희. 70세를 축하하며)
연령별 축하~~
해제(孩提) : (2∼3세) 어린 아이(兒提)
지학(志學) (15세) : 15세가 되어야 학문에 뜻을 둔다는 뜻
약관(弱冠) (20세) : 남자는 스무살에 관례(冠禮)를
치루어 성인이 된다는 뜻
이립(而立) (30세) : 서른살쯤에 가정과 사회에 모든 기반을 닦는다는 뜻
불혹(不惑) (40세) : 공자가40세가
되어서야 세상일에 미혹함이 없었다고 한데서 나온 말
지천명(知天命) (50세) : 쉰살에 드디어 천명을 알게 된다는 뜻
이순, 육순(耳順, 六旬) 60세) : 이순은 논어에서 나온 말로 나이 예순에는 생각하는 모든 것이 원만하여 무슨 일이든 들으면 곧 이해가 된다는
뜻이다. 60세 때의 생신인 육순(六旬)이란 열(旬)이 여섯(六)이란 말이고, 육십갑자(干支六甲)를 모두 누리는 마지막 나이
환갑, 회갑(還甲, 回甲) (61세) : 61세
때의 생신으로 60갑자를 다 지내고 다시 낳은 해의 간지가 돌아왔다는 의미
진갑(陳·進甲) 62세) : 62세 때의 생신으로 다시 60갑자가 펼쳐져 진행한다는 의미
미수(美壽) : (66세) : 66세 때의 생신이다.
현대 직장의 거개가 만 65세를 정년으로 하기 때문에
66세는 모든 사회활동이 성취되어 은퇴하는 나이이면서도 아직은 여력이 있으니 참으로 아름다운 나이이므로 `美壽'라 하고, `美'자는 六十六을 뒤집어 쓰고 바로 쓴 자이어서 그렇게 이름 붙였다.
고희·칠순·종심(古稀·七旬·從心)(70세) : 70세 때의 생신이다.
두보(杜甫)의 곡강(曲江) 시에?「술 빚은
보통 가는 곳마다 있으니 결국 인생은 기껏 살아 본들 70세는 옛날로부터 드물다.(酒債尋常行處有하니 人生七十古來稀라.) 란 승구 중 고(古)자와 희(稀) 자만을 써서 ‘고희(古稀)’란
단어를 만들어 70세로 대신 쓴 것이다.?또한 뜻대로 행하
여도 도(道)에 어긋나지 않았다고 한데서 종심이라 하였다.
희수(喜壽) (77세) : 77세 때의 생신이다.
오래 살아 기쁘다는 뜻. 희(喜)자를 약자로 쓰면 七十七이 되는 데서 유래
팔순·산수(八旬·傘壽) (80세) : 80세 때의 생신이다.
산(傘)자의 약자가 팔(八)을 위에 쓰고 십(十)을 밑에 쓰는 것에서 유래
미수(米壽) (88세) : 88세 때의 생신이다.
미(米)자를 풀면 팔십팔(八十八)이 되는 것에서 유래
졸수(卒壽) (90세) : 90세 때의 생신이다.
졸(卒)의 속자(俗字)가 아홉구(九)자 밑에 열십(十)자를
사용하는데서 유래
백수(白壽) (99세) : 99세 때의 생신이다.
백(百, 100)에서 일(一)을 빼면(99세) 즉, 백자(白字)가 됨
상수(上壽) : 100세 사람의 수명을 상중하로 나누어 볼 때 최상의 수명이라는 뜻. 좌전(左傳)에는 120살을 상수(上壽)로 봄 (장자)
천수(天壽) : 병없이 늙어서 죽음을 맞이하면 하늘이 내려 준 나이를 다 살았다는 뜻으로 천수라 한다
약혼, 결혼을 축하하며
祝約婚 (축약혼), 祝結婚 (축결혼), 祝成婚 (축성혼), 祝華婚 (축화혼. 결혼을 축하하며)
결혼기념일을 축하하며
祝錫婚式 (축석혼식. 결혼 10주년을 축하하며)
祝銅婚式 (축동혼식. 결혼 15주년을 축하하며)
祝陶婚式 (축도혼식. 결혼 20주년을 축하하며)
祝銀婚式 (축은혼식. 결혼 25주년을 축하하며)
祝眞珠婚式 (축진주혼식. 결혼 30주년을 축하하며)
祝珊瑚婚式 (축산호혼식. 결혼 35주년을 축하하며)
祝紅玉婚式 (축홍옥혼식. 결혼 45주년을 축하하며)
祝金婚式 (축금혼식. 결혼 50주년을 축하하며)
祝金剛婚式 (축금강혼식. 결혼 60주년을 축하하며)
이사를 축하하며
祝入宅 (축입택), 祝入住 (축입주)
祝家和萬事成 (축가화만사성. 가정이 화목하길
기원하며)
공사(건축)를 축하하며
祝起工 (축기공. 공사시작을 축하하며), 祝竣工 (축준공)
祝完工 (축완공), 祝竣役 (축준역. 공사의 완공을 축하하며)
祝除幕式 (축제막실. 동상이나 기념비 등을 완공하고 공개하기에 앞서 기념식을 가질 때)
전시나 공연을 축하하며
祝展示會 (축전시회)
祝展覽會 (축전람회. 여러가지 물품이나 작품을
진열해 놓고 보이는 자리에)
祝演奏會 (축연주회), 祝發表會 (축발표회), 祝獨唱會 (축독창회)
수상을 축하하며
祝當選 (축당선. 선거나 심사에서 뽑힘을 축하하며), 祝優勝 (축우승), 祝入選 (축입선)
환자를 위문하며
祈快癒 (기쾌유), 祈完快 (기완쾌)
죽음을 애도하며
謹弔 (근조), 追慕 (추모), 追悼 (추도), 哀悼 (애도), 弔意 (조의), 尉靈 (위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