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찬벌뜨라기

마늘 생리 현상

텃밭일기

 

3월이 지나 4월입니다.

12월에 마늘을 심었기에 생육은 적기 시기 보다는 부진함

문제는 마늘끝잎이 노랗게 변화고 있다는 겁니다.

마늘 끝잎이 노랗게 변하며 생육이 부진한 모습

요즘 일교차가 심한 이유도 있겠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밑거름이 부족한 탓도 있다고 여겨지며, 과습에 의한 것도 아니고 건조에 의한 것으로도 보이지 않습니다.

현재 보이는 병은 마늘 검은 색 마늘 곰팡이 또는 asperillosis 뿐입니다.

칼슘이 부족할 경우에도 노랗게 변하지만 그동안 3차에 걸쳐 옷거름을 충분히 시비했으므로 칼슘부족에 의한 현상이라고 판단 되어지지 않습니다.

현재 석회질고토비료를 준 상태이며, 주기적으로 물을 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생리현상이 개선이 될지 지켜보고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마늘잎이 노랗게 변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는 현상과 대처방안

 

※ 일반적인 현상
마늘 잎 끝마름 현상은 대체로 온도(저온, 고온), 병해중, 양분 결낌 등 3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기적으로는 월동기 전후, 수확기 무렵에 발생됩니다.

마늘 파종 발아 이후 늦가을에 발생되는 잎 끝마름 현상은 주로 다음과 같은 현상에 의한 것 보입니다.

※ 원인

1. 갑자기 추웠을 때 : 따뜻한 날씨 조건에서 잘 자라다가 갑자기 추운날씨가 되면 서리나 저온에 의해서
                           잎 조직이 상해를 입어 잎끝이 심하게 마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2. 불량총구 사용시 : 뿌리가 발생될 부분에 병해중에 감염된 불량총구를 사용시 뿌리발생이 불량해져
                           지상부 잎끝이 마르면서 생육지장 초래
3. 토양병해중 피해 : 토양중에 발생되는 각총 곰팡이병, 고자리파리, 뿌리응애 등이 다발생되어 뿌리에
                           피해를 받게되면 지상부 잎끝이 마르면서 생육지장 초래
※ 대책
1. 퇴비 시용 : 저온에 의한 피해는 방지하기 어려우나 파총전에 완숙된 퇴구비를 충분히 시용해 주어
                  생육을 강건하게 해 숨으로서 피해를 어느 정도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2. 총구선별 철저 : 파총전에 건전총구 선별 및 총구소독을 철저히하면 총구전염성병을 예방하여 뿌리
                        발육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 지상부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토양병해충방제 철저 : 고자리파리, 뿌리응애 등 뿌리를 가해하는 토양병해중에 대한 방제를 철저히
                                해주어 뿌리피해 최소화
4. 과습방지 : 특히 겨울에 지나친 과습에 의해 뿌리환경이 안 좋을 경우도 있으므로 과습포장은 배수관리를
                 철저히 합니다.
※ 기타
1. 기타 월동기 이후에는 양분불균형(질소과다, 칼리부족, 미량원소결낌), 병해중, 고온(25도 이상), 수확기
   뿌리 노화 등의 원인에 의해서 잎마름 현상이 나타나오니 참고 하십시요
2. 일반적인 잎끝마름 현상은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나 특정한 밭에서 만 발생될 경우에는 가까운
   농업기술씬터에 연락 주시면 그 원인과 대책에 대해서 더 세부적인 진단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해찬벌뜨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메모장 그림넣기  (0) 2020.04.27
파일탐색기 (Cx File Explorer)  (0) 2020.04.19
엑셀 이름 스타일 지우기  (0) 2020.04.07
안심글꼴 사용하기  (0) 2020.03.31
세벌식 사용자 설정용  (0) 2020.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