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찬벌뜨라기

배추의 생리장해 및 병해충

 

 

생리장해

 

1.   재배관련

 

가.   꽃봉오리 형성 및 추대

 

 

 1) 원인 및 증상

 

-    씨앗이 물을 흡수하면서부터 저온 감응(종자춘화형)

 

-    꽃눈형성 : 품종에 따라 다르나 평균기온 13℃이하에서 7∼10일 정도

 

-    추대 및 개화 :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 길이가 길어지면 장다리를 형성하여 상품성을 떨어뜨림

 

-     문제점 : 꽃이 피면 흡수된 양분의 대부분이 꽃을 피우 고 종자 맺는 쪽으로 이동되어 영양생장은 거의 멈추게 되어 상품성 상실

 

 

 

 

 

 

생리장해(추대)

 

. 방지대책

 

-     추대가 늦은 만추대성 품종을 선택하며 하우스, 터널, 봄노지, 여름 고랭지 재배시에 낮은 온도 에 처하지 않도록 주의

 

-     품종의 추천 파종시기를 준수하여 조기파종과 조기정식을 피해 저온을 처할 수 있는 시기를 피해서 재배

 

-     육묘시에는 육묘상의 온도를 최저 13℃ 이상으로 관리

 

 

. 방울배추(액아발생)
 

 

1)           증상

-     생장점이 장해를 받게 되어 겨드랑이 눈들이 자 라서 작은 배추가 여러 개 생기는 현상

 

2)            원인

 

-     배추 좀나방, 순나방, 벼룩잎벌레

 

-     미숙계분 등 미숙퇴비 과다 사용(가스장해)

 

-     고온 재배시 농약, 비료의 고농도

 

-     노지재배시 유묘기때 거센 빗줄기,저온 등의 피 해

 

3)              대책

 

  -         유묘기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토양 살충제 등 을 살포하여 배추
      
좀나방 등의
해충의 발생 억제

 

 -       적기에 파종하여 고온장해를 입지 않도록

 

 -       가스장해를 받지 않도록 완숙퇴비를 시용하고 시설재배시 환기에 주의

 

           -     육묘 중에 물주기로 인하여 기계적인 상처를 받 지 않도록 수압을 약하게 하여 관수

 

2. 비료 및 농약관련

 

. 배추 붕소결핍증

 

1) 붕소의 역할

 

      -    미량요소 중 하나로 식물체내에 함유되어 있는 양은 극히 적고 작물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2.3∼94.7ppm 정도
 

-  결핍되면 세포가 불균일하게 비후하여 세 포벽 내부로부터 붕괴되므로 세포벽의
기능이나 식물체의 구조유지
가 불가능

 

          -   탄수화물의 이동에 관계하여 효소의 활성 촉진 질소, 칼슘, 칼리의 흡수를 도와
         
뿌리의 생장이나 활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함

 

             -  과용하면 작물의 생육에 해롭게 작용하여 원형질의 점성이 떨어지고 원형질의
          세포벽에 대한 점 착성이 줄게하고 엽록소가 황화되어 광이 있어도 광합성이 저하

 

 

      2) 붕소 결핍 증상

 

     -    식물체내에서 이동이 어려운 요소로 결핍 증상은 주로 신초나 생장점 주변에 나타남

 

     -    줄기의 생장점이 붕괴되고 유관속이 파괴되며 뿌리의 생 장도 극도로 나빠지고 갈변

 

     -    주로 바깥 잎에 나타나지만 심하면 속잎에 발생하며 가로 방향으로 균열 및 갈라짐

 

     -    잎 색이 농록으로 진해지고 잎자람이 불량해지며 증륵의 안쪽이 갈색흑색으로 코르크화 되면서

              갈라지고 결구가 지연

 

 

 

3) 붕소 결핍의 원인

 

-     토양 중에 붕소의 함량이 부족하거나 토양이 건조, 과습 또는 고온으로 배추 뿌리의 붕소 흡수 능력이 저하될 때

 

-     질소, 칼리 및 석회를 과다하게 시용함으로써 길항작용에 의해 발생

 

-     일반적으로 모래땅에서 잘 발생

 

4) 붕소 결핍 대책

 

-     토양 중 붕사가 부족하지 않게 밑거름으로 붕 사를 10a 1∼1.5kg 정도를 시용

 

-     질소, 칼리 및 석회 등을 과용하지 않아야 함

 

-     유기물에는 붕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붕소 결핍증이 일어나는 것을 막아주며, 토양 완충 능을 높이므로 유기물을 적정량 시용

 

-    고온기 배추 재배에서는 관수를 철저히 하여 토양이 건조하지 않게 하고 장마기에는 배수를 철저히 하여 과습이 되지 않게 관리

 

-    붕소 결핍증상이 나타날 기미가 있으면 0.2%의 붕산 액을 2∼3회 살포

 

-    결핍증을 우려하여 2kg/10a를 초과하면 해 작용이 나 타나므로 적량 살포

 

5) 배추 석회(칼슘)결핍증

 

1) 석회의 역할

 

-     석회 비료의 주성분은 칼슘으로 주로 작물체내 의 잎에 집중되어 있으며 불용성으로 체내 이동 이 어려움

 

-     칼슘은 세포벽의 일부를 구성하여 작물체의 골 격을 형성

 

-     주로 잎에서 세포막을 강하게 하여 병에 대한 저 항성 증대

 

. 배추 석회(칼슘)결핍증

1) 석회의 역할

 

-        식물체내의 과잉 유기산의 중화 및 마그네슘 의 독성을 완화

-        토양 산도를 교정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석 회를 시용하면 산성토양을 중화시켜 산성토양 에서 나타날 수 있는 알루미늄, 망간 등으로 인 한 뿌리 장해 및 미생물 활동 저하 등 여러 가 지 해작용을 완화

 

2) 석회 결핍 증상

 

-      석회가 결핍되면 작물전체의 생장이 저해되고 거칠어지며 목화 촉진

 

-      결핍 증상은 어린 부분에 나타남

 

-      줄기 끝의 어린잎의 기형화, 잎의 경화나 황화 갈색반점의 출현 및 생장점 부위의 퇴화 초래

 

-      뿌리 신장의 억제와 뿌리 끝 생장점부위 세포 고사

 

-      배추의 경우는 어느 정도 자란 후 어린잎의 가 장자리가 마르거나 물러지는 현상

 

-      속잎이 무르면서 부패하는 경우는 석회대사 불 균일로 잎에 장해가 생기거나 바이러스병에 감 염, 폭우 등으로 인해 식물체에 상처가 생긴 곳 으로 토양 중에 사는 세균이 침임하여 속잎부터 썩어 들어가는 현상

3) 석회 결핍의 원인

 

 

-       토양 중에 석회가 부족

 

-       질소와 칼리 성분을 과다하게 시비한 경우

 

-       붕소 시비량과의 관련(붕소와 석회 적정)

 

-       건조하면 석회가 토양에서 충분히 녹지 못해 석회가 식물체내로 흡수되지 못함

 

-       고온기 증산 작용이 활발

 

-       식물체내의 어느 부위에서 물이 급속히 증발 석회가 더 이상 다른곳으로 이동이 안됨

 

4) 석회 결핍 대책

 

  -       밑거름으로 석회를 적량(90∼100kg/10a) 시용하 며 배추 뿌리가 잘 흡수하도록 토양이
        건조하거 나 과습하지않게 관배수에 유의

 

  -       시설재배시 고온이 되지 않게 온도관리에 유의

 

  -       결구 초기 염화칼슘 0.3%액을 5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살포

 

  -            품종선택시 석회 요구량이 적은 품종 선택

 

 

 

 

배추 병해

 

1. 무사마귀병(Plasmodiophora brassicae)

 

                최근피해상황(원예연구소조사)

작 형

조사지역수

포장수

포장평균

발병율(%)

조사

발병(%)

8

40

13.8

56.3

여름

13

50

37.9

48.3

가을

13

28

48.3

44.3

1996

25

99

30.0

37.5

1997

27

105

9.7

27.1

1998

34

146

39.7

47.5

 

가)       무사마귀병 발병 조건

 

         온도

-          토양온도 : 최저 22

-          기온 : 최저 15

 

         토양산도 : pH 4.56.5

 

         토양습도 : 60%이상

 

             ○ 고랭지 배추 뿌리혹병 발병포장

 

 

 

 

 

 

 

 

 

 

 

 

 

 

. 방제

 1) 경종적 방제

    병원균의 전염경로 차단

가)  이병포장에 사용된 농기계의 세척

나)  다른 포장의 관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함

다)  상토소독, 이병주 제거

    석회시용 : 토양 pH 7.27.4로 조절

    배수철저

    고온기 시설내에서 일광소독

    대체작물 재배

 

 2)  화학적 방제

-      후루설파마이드 분제, 후루아지남 분제,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등

-      분제 : 정식 17일 전 석회 150200/10a와 함께 처리

-      (처리 경비 과다, 10a1115만원)

 

3)       생물학적 방제

-    무사마귀병에 1992년부터 시도

-    무사마귀병의 발병을 억제시키는 균류를 종자에 코팅

 

 

   4)    무사마귀병 저항성 품종 이용

 

                 ○ 작물 조합별 뿌리혹병 발병정도(2001)

 

 

< 발병지포장의 2년차양파, 당귀재배후병발병상태>

 

 

 

 

 

 

 

         뿌리혹병 저항성 계통 육성(채소과)

 

 

                                                             

배추 충해

1. 배추 좀나방

 

. 배추 좀나방의 특성

 

-       어린벌레(유충)가 배추의 잎 뒷면에서 표피 를 파고 들어가 표피만 남기고 엽육을 식해

 

-       유묘기에 발생하면 초기생육에 현저한 지 장

 

-       세대기간이 짧고 발생회수가 많아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빠르게 발달되어 약제방제 효과가 떨어짐

 

. 방제

 

-   약제는 작용 특성이 다른 계통을 선택하여 교대로 살포

 

-   약제 : 프로싱유제, 피레스유제, 프로치오포스유제, 테프 루벤주론유제, 비티-쿠르스타키액상수화제, 비티아이자와이과립수화제,에토펜프록스·파프수화제), 헥사프로므론액상수화제, 비티수화제,플루피 라포스유제 등

 

-   약제살포시 유의점

 

약액이 작물체 전체에 고루 묻도록 뿌려줌

 

저항성이 생기지 않도록 성분이 다른 약제로 바꿈

 

 

 

 

 

2. 벼룩잎벌레

 

 

가.   피해

 

-     잎을 식해

 

-     묘에 피해가 많고, 식해구멍은 생육 하면서 커져 상품가치가 떨어짐 - 늦은봄부터 여름까지 피해가 심함

 

 

나.   방제

 

 -     생육초기의 방제가 중요

 

 -     씨뿌리기전 :  보라톤분제, 카보후란, 다이아지논입제를토양처리

 

      -  싹튼 후 : 파프, 다아아지논 입제